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8

SKT 유심 해킹 사태 & 피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사건 개요2025년 4월, **SK텔레콤의 가입자 인증 서버(HSS)**가 해킹당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습니다.HSS 서버는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을 인증하고, 유심(USIM) 관련 데이터(IMSI, 인증키 등)를 보관하는 핵심 시스템입니다.해킹으로 인해 일부 유심 정보가 유출되었습니다.이 정보로 **유심 복제(심 클로닝)**가 가능해졌습니다.복제된 유심으로 본인 인증, 금융 거래, 사기 등에 악용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단순 개인정보 유출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2. 왜 심각한 문제인가?핸드폰 번호가 복제됩니다.복제된 번호로 은행 인증, 본인 인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심지어 금융 사기나 개인정보 탈취에 악용될 위험도 있습니다.실제 일부 금융사는 SKT 인증을 차단 조치했습니다. (KB라이.. 2025. 4. 29.
대구 근교, 경산 반곡지 드라이브 너무 멀리 나가긴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집에만 있기엔 아쉬운 날.이럴 땐 대구 근교로 가볍게 드라이브하듯 다녀올 수 있는 경산 반곡지가 제격입니다. 반곡지는 경산 와촌면에 있는 저수지인데, 봄이면 버드나무와 왕벚꽃, 여름이면 푸르른 녹음, 가을엔 단풍까지 사계절 모두 분위기가 정말 좋습니다. 이날은 살랑살랑 바람이 불고 햇살도 좋아서, 드라이브 목적지로 정말 탁월한 선택이었습니다. 자연이 주는 힐링, 반곡지 산책로반곡지 도착하자마자 눈에 띄는 건 바로 이 수양버들입니다. 물가에 늘어진 나뭇가지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이 너무 고요하고 예쁘더라고요.산책로는 나무 테크로 잘 조성되어 있어서 걷기에도 좋고, 중간중간 포토존이 많아서 산책하다가 한참 사진 찍었습니다. 거울 같은 수면 위, 반곡지의 반영물이 얼마나 .. 2025. 4. 14.
주가지수로 보는 국가 경제 상태 뉴스를 보면 주식 시장인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서 지수가 올랐다거나 내렸다는 소식이 자주 나옵니다. 그런데 한 기업의 주가가 아닌 전체 주식 시장에서 지수가 올랐다 또는 내렸다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각 시장 주가 지수의 등락률을 보면 할 수 있습니다.  주가지수와 국가 경제의 상관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뉴스나 경제 프로그램을 보면 항상 등장하는 코스피, 다우존스, 나스닥... 과연 이런 지수들은 실제로 국가 경제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할까요?  1. 주가지수의 기본 개념과 경제적 의미주가지수는 특정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코스피(KOSPI)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2025. 1. 22.
물가 지수, 실생활 속 경제 지표 우리는 매일 아침 뉴스를 통해 '물가상승률이 얼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했다'라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 지표들이 실제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제대로 이해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경제 지표들과 물가 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우리의 일상생활소비자물가지수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경제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5,000원이었던 김밥이 올해 6,000원이 되었다면, 이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반영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기준연도(현재 2020년=100)를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물가 변동을 측정합니다. 통계청에서는 매달 전국의 460여 개.. 2025. 1. 20.
실업률과 고용 시장의 역설, 왜 취업이 여전히 어려운가?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하지만 실제 구직자들의 체감은 매우 다릅니다. "실업률은 낮다는데 왜 나는 취직이 안 될까?"라는 의문을 가진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실업률과 실제 고용 시장 간의 괴리, 그리고 실업률과 고용률의 상관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통계와 현실 사이의 간극 1) 실업률 통계의 맹점실업률 통계에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맹점이 있습니다. 실업자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해야 하는데, 구직을 포기한 사람들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어 실업률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주 15시간 이상만 일해도 취업자로 분류되어 실제 원하는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불완전 취업자.. 2025. 1. 16.
환율 상승과 하락의 경제적 영향: 우리 경제에 미치는 양면성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환율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환율이 오르는 게 좋을까, 떨어지는 게 좋을까?"라는 질문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복잡한 경제적 함의를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환율의 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환율이란 무엇인가? 기본 개념 이해하기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를 다른 나라의 화폐와 교환할 때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달러-원화 환율이 1,300원이라면, 1달러를 얻기 위해 1,300원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이는 단순한 숫자처럼 보이지만, 한 국가의 경제 건강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며, 수출입, 물가, 금리 등 다양한 경제 요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환율은 국제 .. 2025. 1. 15.